맨위로가기

평산 신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산 신씨는 고려 개국공신 신숭겸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신숭겸은 왕건을 도와 고려를 건국하는 데 기여했으며, 공산 전투에서 왕건을 구하려다 전사했다. 평산 신씨는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상신, 대제학을 배출하며 명문가로 자리 잡았다. 조선 시대에는 신개, 신립, 신사임당 등 다양한 인물을 배출했으며, 근현대에는 신돌석, 신익희, 신현확 등이 평산 신씨 가문에서 나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산 신씨 - 신영복
    신영복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사회운동가, 대학교수, 저술가로서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수감 생활 중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집필하여 반향을 일으켰고, 출소 후 관계론을 중심으로 사상을 발전시키며 독특한 서체로 민중과 소통했으며,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평산 신씨 - 신영철 (법조인)
    신영철은 서울대학교 법대를 졸업하고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서울중앙지방법원장과 대법관을 역임했으며, 촛불 시위 관련 재판 관여 의혹으로 탄핵소추안이 발의되었으나 부결된 후 현재는 변호사로 활동한다.
평산 신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평산 신씨
평산 신씨의 종문
평산 신씨의 종문
국가한국
관향황해북도 평산군
시조신숭겸(申崇謙)
주요 인물신군평
신개
신호
신영
신잡
신립
신흠
신경진
신임
신완
신만
신회
신재식
신응조
신헌
신익희
인구 (2015년)563,375명
비고평산신씨 대종중

2. 시조

평산 신씨의 시조 신숭겸태봉의 장군으로 있다가 배현경, 홍유, 복지겸과 함께 왕건을 황제로 추대하여 고려 개국일등공신이 되었다.[1] 본명은 능산(能山)이었으나, 태조에게 평산에서 신(申)씨 성을 사성(賜姓)받았다.[9] 927년경 왕건을 구하기 위해 왕의 옷을 입고 오늘날 대구 지역에서 전투 중 용감하게 싸우다 전사하였다.[2]

전설에 따르면, 신숭겸이 태조왕과 함께 사냥을 나갔을 때 명사수였던 신숭겸은 "날아가는 기러기 중 세 번째 기러기의 왼쪽 날개"를 명중시켰고[3], 왕건은 감탄하여 그 기러기들이 날아다니던 지역인 평산(平山)을 신숭겸에게 하사하였다.[4] 시호는 장절(壯節)이다.[9] 994년(성종 13) 태사(太師)로 추증되어 태묘(太廟)의 태조 사당에 배향되었다.[9]

3. 역사

평산 신씨는 고려 건국 초기, 후삼국 통일에 기여한 신숭겸 장군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신숭겸은 918년 배현경, 홍유, 복지겸 등과 함께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추대하여 고려 건국에 큰 공을 세웠다.[1]

신숭겸은 927년 공산 전투에서 왕건을 구하기 위해 왕의 옷을 입고 싸우다 전사했다.[2] 사후 태조는 신숭겸의 아들과 동생에게 높은 벼슬을 내렸다.

전설에 따르면, 평산 신씨라는 성씨는 신숭겸이 태조와 함께 사냥을 나갔을 때, 날아가는 기러기 중 세 번째 기러기의 왼쪽 날개를 맞히는 뛰어난 활솜씨를 보이자,[3] 왕건이 감탄하여 그 기러기들이 날아다니던 지역인 평산(平山)을 하사하면서 유래했다고 한다.[4]

평산 신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180명, 상신(정승) 8명, 대제학 5명을 배출하며 명문가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10]

신개(申槩)는 세종 때 좌의정에 올랐고, 그의 후손들이 정계에 진출했다. 신개의 증손 신상(申鏛)은 판서를 지냈으며, 신상의 손자 신잡(申磼)은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으로 평천부원군(平川府院君)에 책봉되었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10] 신잡의 동생 신립(申砬)은 임진왜란 때 삼도순변사(三道巡邊使)로 활약했으나, 탄금대 전투에서 패배하여 전사했다. 신립의 아들 신경진(申景禛)은 인조반정에 가담하여 영의정에 올랐고, 인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신경진의 증손인 신완(申琓)은 1703년(숙종 29년) 영의정에 오르고 평천군(平川君)에 봉해졌다.[10]

신개의 동생인 신효(申曉)를 파조로 하는 정언공파(正言公派)에서는 신효의 증손인 신영(申瑛)이 우참찬을 역임했고, 신영의 손자인 신흠(申欽)이 인조영의정에 올랐으며, 신응조(申應朝)가 고종 때 좌의정을 역임하였다.[10]

신군평(申君平)의 손자인 신호(申浩)를 파조로 하는 사간공파(思簡公派)에서는 신호의 10대손 신임(申銋)이 참찬(參贊)을 역임했고, 12대손 신만(申晩)·신회(申晦) 형제가 영조영의정에 올랐다. 신재식(申在植)은 1835년(헌종 1) 대제학에 올랐다.[10]

조선 시대에는 과거를 통해 인재를 등용했기 때문에, 평산 신씨 가문은 세습 귀족이 아닌, 시험을 통해 능력을 인정받은 전문가들을 배출했다. 고려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했던 평산 신씨는 조선 시대에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인물을 덜 배출했다.

3. 1. 고려 시대

평산 신씨는 고려 건국 초기, 후삼국 통일에 기여한 신숭겸 장군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신숭겸은 918년 배현경, 홍유, 복지겸 등과 함께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추대하여 고려 건국에 큰 공을 세웠다.[1]

신숭겸은 927년 공산 전투에서 왕건을 구하기 위해 왕의 옷을 입고 싸우다 전사했다.[2] 사후 태조는 신숭겸의 아들과 동생에게 높은 벼슬을 내렸다.

전설에 따르면, 평산 신씨라는 성씨는 신숭겸이 태조와 함께 사냥을 나갔을 때, 날아가는 기러기 중 세 번째 기러기의 왼쪽 날개를 맞히는 뛰어난 활솜씨를 보이자,[3] 왕건이 감탄하여 그 기러기들이 날아다니던 지역인 평산(平山)을 하사하면서 유래했다고 한다.[4]

3. 2. 조선 시대

평산 신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180명, 상신(정승) 8명, 대제학 5명을 배출하며 명문가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10]

신개(申槩)는 세종 때 좌의정에 올랐고, 그의 후손들이 정계에 진출했다. 신개의 증손 신상(申鏛)은 판서를 지냈으며, 신상의 손자 신잡(申磼)은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으로 평천부원군(平川府院君)에 책봉되었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10] 신잡의 동생 신립(申砬)은 임진왜란 때 삼도순변사(三道巡邊使)로 활약했으나, 탄금대 전투에서 패배하여 전사했다. 신립의 아들 신경진(申景禛)은 인조반정에 가담하여 영의정에 올랐고, 인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신경진의 증손인 신완(申琓)은 1703년(숙종 29년) 영의정에 오르고 평천군(平川君)에 봉해졌다.[10]

신개의 동생인 신효(申曉)를 파조로 하는 정언공파(正言公派)에서는 신효의 증손인 신영(申瑛)이 우참찬을 역임했고, 신영의 손자인 신흠(申欽)이 인조영의정에 올랐으며, 신응조(申應朝)가 고종 때 좌의정을 역임하였다.[10]

신군평(申君平)의 손자인 신호(申浩)를 파조로 하는 사간공파(思簡公派)에서는 신호의 10대손 신임(申銋)이 참찬(參贊)을 역임했고, 12대손 신만(申晩)·신회(申晦) 형제가 영조영의정에 올랐다. 신재식(申在植)은 1835년(헌종 1) 대제학에 올랐다.[10]

조선 시대에는 과거를 통해 인재를 등용했기 때문에, 평산 신씨 가문은 세습 귀족이 아닌, 시험을 통해 능력을 인정받은 전문가들을 배출했다. 고려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했던 평산 신씨는 조선 시대에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인물을 덜 배출했다.

4. 분파

평산 신씨는 12세손을 기점으로 여러 파로 나뉘었으며, 15세손에 이르러 19개 파로 분파되었다. 주요 분파로는 문희공파(文僖公派), 사간공파(思簡公派), 정언공파(正言公派) 등이 있으며, 이 중 문희공파사간공파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 12세 신중명(申仲明)
  • * 13세 신집(申諿)
  • ** 14세 신익지

15세 신아 → 밀직공파(密直公派)

  • ** 14세 신이

15세 신정도 → 봉상윤공파(奉常尹公派)
15세 신정리 → 장령공파(掌令公派)

  • ** 14세 신안(申晏)

15세 신감 → 현령공파(縣令公派)
15세 신개 → 문희공파(文僖公派)
15세 신효 → 정언공파(正言公派)
15세 신하 → 한성윤공파(漢城尹公派)

  • ** 14세 신혼(申琿)

15세 신호 → 사간공파(思簡公派)
15세 신연 →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15세 신기 → 온수감공파(溫水監公派)

  • ** 14세 신수(申璲)

15세 신효창(申孝昌) → 제정공파(齊靖公派)

  • ** 14세 신우(申瑀)

15세 신호 → 전서공파(典書公派)

  • ** 14세 신순

15세 신인기(申仁錡) → 이상공파(貳相公派)

  • * 13세 신현(申賢)
  • ** 14세 신용희

15세 신득청 → 판사공파(判事公派)

  • 12세 신자명(申自明)
  • * 13세 신중전
  • ** 14세 신윤공

15세 신유 → 진사공파(進士公派)
15세 신강 → 감찰공파(監察公派)

  • ** 14세 신윤안

15세 신시현 → 판윤공파(判尹公派)

  • * 13세 신중해(申仲諧)
  • ** 14세 신국

15세 신도지 → 참판공파(參判公派)

  • 12세 신헌주(申憲周)
  • * 13세 신욱
  • ** 14세 신현

15세 신우방 → 군수공파(郡守公派)

4. 1. 주요 분파

평산 신씨는 15세손에서 19개의 파로 나뉜다. 인구는 문희공파(文僖公派)와 사간공파(思簡公派)가 각각 30%를 차지한다.

  • 문희공파(文僖公派)는 파조가 신개이며, 조선 세종 때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 사간공파(思簡公派)는 파조가 신호이며, 신개의 손자 신군평의 증손이다.
  • 정언공파(正言公派)는 파조가 신효이며, 신개의 동생이다.
  • 밀직공파(密直公派)
  • 봉상윤공파(奉常尹公派)
  • 장령공파(掌令公派)
  • 현령공파(縣令公派)
  • 한성윤공파(漢城尹公派)
  •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 온수감공파(溫水監公派)
  • 제정공파(齊靖公派)
  • 전서공파(典書公派)
  • 이상공파(貳相公派)
  • 판사공파(判事公派)
  • 진사공파(進士公派)
  • 감찰공파(監察公派)
  • 판윤공파(判尹公派)
  • 참판공파(參判公派)
  • 군수공파(郡守公派)

5. 항렬자

평산 신씨는 시조로부터 1세(世)로 하여 대동항렬(大同行列)을 쓰고 있다. 각 세대별로 정해진 글자를 이름에 넣어 항렬을 표시한다.

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44세45세46세47세48세49세50세51세52세53세54세55세56세57세58세59세60세61세
재(在)
口석(錫)
口종(鍾)
口경(景)
口희(熙)
口상(相)
口수(秀)
태(泰)
口균(均)
口규(圭)
口노(老)
口곤(坤)
현(鉉)
언(彦)
윤(允)
종(鍾)
口철(澈)
口식(湜)
口순(淳)
口영(泳)
동(東)
상(相)
영(榮)
주(柱)
口섭(燮)
口용(容)
口항(恒)
口환(煥)
재(載)
숙(璹)
기(基)
배(配)
口호(鎬)
口진(鎭)
口일(鎰)
口연(鍊)
제(濟)
준(濬)
원(源)
홍(洪)
口근(根)
口화(和)
口병(秉)
口집(集)
성(性)
충(忠)
찬(燦)
덕(德)
口용(用)
口익(翼)
口중(重)
口식(軾)
원(元)
완(完)
극(棘)
욱(旭)
口필(弼)
口우(雨)
口남(南)
口설(卨)
단(段)
승(承)
제(劑)
영(寧)
口무(武)
口빈(斌)
口성(成)
口무(戊)
홍(弘)
세(世)
경(卿)
기(起)
口염(廉)
口용(庸)
口경(慶)
口강(康)
재(宰)
화(華)
상(常)
행(幸)
口정(廷)
口승(升)
口연(延)
口성(聖)
규(揆)
등(登)
계(癸)
봉(奉)
口기(圻)
口경(坰)
口은(殷)
口철(哲)
선(銑)
은(銀)
흠(欽)
금(錦)
口태(泰)
口진(溍)
口준(浚)
口수(洙)
계(桂)
순(栒)
병(柄)
송(松)
口엽(燁)
口희(熙)
口렬(烈)
口형(炯)
정(禎)
조(祚)
상(祥)
우(祐)
口서(瑞)
口민(珉)
口규(珪)
口선(璿)
연(淵)
해(海)
옥(沃)
호(浩)
口모(模)
口락(樂)
口걸(杰)
口초(楚)
이(怡)
은(恩)
현(炫)
병(炳)


6. 주요 인물


  • 신숭겸(신성겸), 시조이자 고려 장군[5]
  • 신사임당 (1504 – 1551), 조선 시대 화가이자 시인[5]
  • 신립 (1546 – 1592), 조선 시대 장군[5]
  • 신유 (1619 – 1680), 조선 시대 장군[6]
  • 신재효 (1812 – 1884), 조선 판소리 이론가[5]
  • 신돌석 (1878 – 1908), 한국 의병장[5][7]
  • 신팔균 (1882 – 1924), 한국 독립 운동가[5]
  • 신익희 (1894 – 1956), 대한민국 정치인, 국회의장[5]
  • 신현확 (1920 – 2007), 대한민국 정치인, 국무총리[5]
  • 넬리 신 (1972년생), 한국계 캐나다인 정치인, 포트무디-코퀴틀람 국회의원 (2019 – 2022)[8]

6. 1. 고려 시대

평산 신씨는 10세기 고려 건국 시기에 뿌리를 둔 한국의 귀족 가문이다.[1] 평산 신씨의 시조는 고려 개국공신인 신숭겸 장군으로 알려져 있다.[1] 그는 918년 왕건이 고려를 건국할 때 배현경, 홍유, 복지겸 등과 함께 큰 공을 세웠다.[1]

신숭겸은 927년경 대구 지역 전투에서 왕건을 구하기 위해 왕의 옷을 입고 용감하게 싸우다 전사하였다.[2] 사후 왕은 신숭겸의 아들과 그의 동생에게 장절공이라는 높은 귀족 칭호를 내렸다.[2]

전설에 따르면, 신숭겸은 왕건과 함께 사냥을 나갔을 때 명사수로서 "날아가는 기러기 중 세 번째 기러기의 왼쪽 날개"를 명중시켰다.[3] 왕건은 이에 감탄하여 그 기러기들이 날아다니던 지역인 평산(平山)을 신숭겸에게 하사하였고, 이것이 평산 신씨 가문의 기원이 되었다.[4] 현재 이 지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도에 위치해 있다.

6. 2.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 평산 신씨는 양반 가문 중 하나로, 문중 인물들은 과거를 통해 관직에 진출했다.[5] 조선 시대에는 시험을 통해 관료를 선발했기 때문에 세습 귀족은 없었다. 고려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던 평산 신씨는 조선 시대에는 신숭겸(신성겸)[5] 때와 달리 국가적으로 중요한 인물을 덜 배출했다.

신개(申槩)는 조선 세종 때 좌의정을 지냈으며, 문희공(文僖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신사임당(1504~1551)은 조선 중기 예술가로, 율곡 이이의 어머니이다.[5] 신립(1546~1592)은 조선 선조 때 장군으로, 임진왜란에서 활약했다.[5] 신흠(申欽)은 조선 인조 때 영의정을 지냈으며, 문정공(文貞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신경진(申景禛)은 조선 인조 때 영의정을 지냈으며, 충익공(忠翼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신만(申晩)은 조선 영조 때 영의정을 지냈으며, 충헌공(忠獻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신회(申晦)는 조선 영조 때 영의정을 지냈으며, 충정공(忠靖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6. 3. 근현대

신돌석(1878년 ~ 1908년)은 대한제국 시기 의병장이다.[5][7] 신팔균(1882년 ~ 1924년)은 한국 독립 운동가였다.[5] 신익희(1894년 ~ 1956년)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제2대 국회의장을 지냈으며, 민주당 대통령 후보였다.[5] 신현확(1920년 ~ 2007년)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12대 국무총리를 역임하였다.[5] 넬리 신(1972년생)은 한국계 캐나다인 정치인으로, 포트무디-코퀴틀람 지역구의 연방 하원의원(2019년 ~ 2022년)을 지냈다.[8] 신재효(1812년 ~ 1884년)는 조선 말 판소리 이론가 및 후원가였다.[5]

7. 문화 유적

참조

[1] 웹사이트 Korean Architecture: Shin Sung-kyom shrine, Daegu http://www.orientala[...]
[2] 웹사이트 CULTURE&TRADITION-Sin Jangjeolgong's grave https://web.archive.[...] 2007-09-25
[3] 서적 Warriors Who Changed the National History Indie Book 2002
[4] 웹사이트 평산신씨 평산닷컴 http://www.pyeongsan[...]
[5] 웹사이트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61〉 신(申·辛·愼)씨, 평산 신씨 https://www.segye.co[...] 2024-09-25
[6] 웹사이트 신류 (申瀏)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9-25
[7] 웹사이트 신돌석 (申乭石)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9-25
[8] 웹사이트 In August of 2022, I made my first visit to South Korea in 25 years. While I was there to speak at a conference in Seoul on the topic of Peace in Times... https://www.facebook[...] 2024-09-25
[9] 웹사이트 『고려사』 권92, 열전5 https://terms.naver.[...]
[10] 뉴스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61〉 신(申·辛·愼)씨, 평산 신씨 https://www.segye.co[...] 세계일보 2013-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